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프로그래머스 월간 코드 챌린지
- FastAPI
- PostgreSQL 설치 시 에러
- 바이오데이터 엔지니어
- 파이썬
- github
- heroku
- 클린 코드
- 브랜디
- Firefox
- Python
-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 Spring Boot
- PostgreSQL
- 스코페2021
- pycharm
- 디자인 패턴
- Word Cloud
-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 github actions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연습
- 프로그래머스 월간 코드 챌린지 시즌1
- Codeforces
- selenium
- WPF
- 애드센스
- git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연습문제
- c#
- terraform
- Today
- Total
프로그래밍 연습하기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2장- 본문
2장에서는 테스트 작성에 관한 부분을 다루고 있다.
테스트의 중요성에 대해서 먼저 설명해주고, 테스트를 만들어 보면서 스프링 부트의 WAS에도 설명을 해준다.
스프링 부트는 내장 WAS를 사용하여 톰캣을 따로 설치하지 않는다.
이는 WAS의 관리에 있어서 장점을 갖게 된다.
따로 설치하면 여러 대의 서버를 관리하는 경우 관리가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장 WAS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는 추세이고, 성능 상의 이슈 또한 별 문제가 되지 않는 수준이라고 한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서 @Autowired라는 어노테이션을 볼 수 있었다.
이 어노테이션은 그 동안 스프링을 공부하면서 많이 봤었는데, 역할을 정확히 알지 못했다.
@Autowired를 통해서 XML이나 class로 bean 설정을 하지 않고도 쉽게 의존성 주입을 받을 수 있다.
생성자에서 의존성을 주입 받는 경우에는 @Autowired 어노테이션 없이도 의존성을 주입 받을 수 있다고 한다.
나 혼자 간단한 프로젝트를 하면서도 추가하는 기능들에 대해 계속 일일히 확인해보는 것이 힘든데
실제 더 복잡한 서비스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는 테스트가 더욱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었다.
테스트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여기저기서 많이 들어보았지만 정작 테스트를 작성해본 경험은 적어서
테스트 작성이 익숙하지 않았다. 계속 생각하고 고민해보면서 익숙해져야겠다.
테스트 코드 작성중에 Junit의 기본 assertThat이 아닌 assertj의 assertThat을 추천해준다.
추가적으로 백기선씨의 유튜브 영상을 소개해줘서 시청한 결과
Junit의 assertThat은 Matcher 사용이 불편하기 때문에 assertj를 사용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롬복에 대해서도 소개해준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롬복을 사용하다는 것이 정말 편하다는 것을 점점 느끼게 되었다.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6장,7장- (0) | 2020.07.13 |
---|---|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5장- (0) | 2020.07.12 |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4장- (0) | 2020.07.11 |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3장- (0) | 2020.07.10 |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1장- (0) | 2020.07.10 |